카테고리 없음

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, 실수령 월급, 최저임금 얼마일까?

키입고잉 2023. 2. 1.
반응형

연봉 실수령액은 4대보험과 소득세를 제하고 입금되는데요. 실수령액을 알아야 저축, 투자와 지출 계획을 정확히 세울 수 있으니 매년 초에 확인하고 있어요.  2023년 연봉 실수령액과 최저임금 알아볼게요.

 

 

연봉 실수령액 계산

 

연봉 실수령액은 연봉에서 4대보험과 소득세를 제하고 입금됩니다.

연봉 실수령액 = 연봉 - 4대보험 (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) - 소득세

 

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

 

 

 

2023년 4대보험 요율

 

아래는 실제 내 월급에서 떼어가는 4대 보험료 요율입니다. 

국민연금 4.5%
건강보험 3.545%
장기요양보험 12.81%
고용보험 0.9%

 

 

2023년 연봉 실수령액 표

 

2023년 연봉 실수령액표는 재직중인 기업의 계산법, 미성년 자녀의 수, 비과세 급여 및 추가수당 등 개인의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. 자신의 상황에 맞게 실수령 월급 확인하려면 연봉실수령액 계산기를 사용해 보세요.

 

 

 

연봉 2200만원 - 5400만원 실수령액표

 

출처 사람인

 

연봉 5500만원 이상 실수령액

 

출처 사람인

 

 

2022년 세전 평균 연봉이 4,024만원이었네요. 2023년 최저임금이 올라 평균 연봉이 조금 올라가긴 하겠지만, 만약 세전 연봉이 4천만원이면, 실수령 월급은 약 288만 원입니다. 

 

 

 

 

2023년 최저임금

 

2022년 9,160원에서 460원 올라 9,620원으로 최저시급이 인상되었습니다. 세후 실수령액은 약 181만 원이라고 계산되네요. 

 

2023년 최저임금 정리 (주 40시간/주휴수당 포함 시)

최저시급 9,620원
주급 384,400원
월급 2,010,590원 
연봉 24,126,960원

 

 

2023년 월 예상 실수령액 계산기

 

사람인 또는 잡코리아 실수령액 계산기로 본인에게 맞는 정확한 실수령액 알아보세요. 아래는 최저임금으로 계산해본 실수령 월급입니다. 

 

 

 

함께 읽으면 좋은 글

 

 

데이터 라벨링 사이트와 후기 (1년 수익 및 플랫폼 특징)

2020년 10월에 처음 데이터 라벨링 알바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. 그 후부터 데이터 라벨링에 대해서 알아보기 시작했고, 대부분의 데이터 라벨링 프로젝트는 정부 지원 사업이라

keeeepgoing.tistory.com

 

 

반응형

댓글

💲 추천 글